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제2형 당뇨
- MRKH
- 한글에 도장 넣기
- 콩 단백질
- 딥마인드
- 미세생리시스템
- MEPS-TBC
- 무료도장만들기
- 걷기 달리기 효과
- 미세플라스틱
- 당뇨 예방
- 인지능력
- 걷기 건강
- 젊은 고혈압
- 췌장암 예방
- 라면주
- 신경세포
- 2030 고혈압
- 맵스젠
- 공매도개혁
- 걷기 효과
- 라면주가
- 미세플라스틱 예방
- 프로멥스
- 도장이미지 넣기
- 가짜뉴스
- 과식 신경세포
- 무료도장
- 자궁이식
- 아이메시지
- Today
- Total
뻘건하마
내장지방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연관성 본문
오늘은 내장지방과 알츠하이머 치매 간의 연관성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소개하려고 합니다.
내장지방과 알츠하이머 치매: 의외의 연결고리?
미국 워싱턴 대학교의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, 내장지방이 많으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 내장지방은 복부 내장 주변에 존재하는 지방으로, 이 지방이 피하지방보다 더 많을 경우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.
연구결과
미국 워싱턴 대학교 연구팀은 정상 범위 내에서 기능하는 40~60세의 일반인 54명을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(MRI), 뇌 양전자방출단층촬영(PET), 체질량지수(BMI), 그리고 인슐린 저항 검사 등을 통해 내장지방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관련성을 조사했습니다.
연구 결과, 피하지방 대비 내장지방 비율이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초기에 뇌 부위인 전궁상 피질에 Aß 플라크가 더 많이 쌓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특히 여성보다 남성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.
내장지방과 뇌 건강의 연관성
내장지방은 해부학적 위치와 대사적 특징으로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, 고혈압과 연관성이 높습니다. 뿐만 아니라, 체질량지수(BMI)가 30 이상인 과체중은 '뇌 위축'과 '치매'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.
내장지방과 뇌 염증의 관계
내장지방이 많을수록 뇌의 염증부하가 높아진다는 사실도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.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염증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된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.
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내장지방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그러나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
따라서 건강을 유지하고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습관과 운동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해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. 건강한 라이프를 위해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겠죠?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~30대 젊은 세대 혈압 관리의 중요성: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 조치 (0) | 2023.11.24 |
---|---|
과식을 막는 신경세포의 비밀: 뇌의 작은 수호자들 (1) | 2023.11.23 |
콩 단백질 섭취로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감소. (1) | 2023.11.20 |
걷기 vs. 달리기: 어떤 운동이 더 건강한가? (1) | 2023.11.19 |
50대부터 급증하는 췌장암, 환경 위험인자 없애는 방법은? (1) | 2023.11.18 |